close_btn

스낵카 인지 스넥카 인지 궁금증이 생겨서 찾아 보았다.

쉽게 이동판매차 라고하지만...

 

김밥도 팔고 오뎅(어묵)도 내는 길모퉁이 주전부리 가게, 떡볶기에 튀김도 빠지지 않는다. 간판은 거의 ‘스넥’이다. 영희네 스넥, 터미널 스넥, 가고파 스넥 등 어느 길목에서나 마주치는 정다운 그 이름, 배 안고파도 괜히 한번 쯤 들러보고 싶은 곳이다. 요즘엔 작은 트럭을 이용한 ‘스넥카’도 유행이다. 다이어트의 가장 큰 적 중 하나다.

 

‘깡’이나 ‘땅’과 같은 이름 붙은 과자의 포장지에는 대개 ‘스낵’이라고 적혀있다. 신문에서 이런 종류의 식품을 이를 때도 보통 스낵류(類)라고 한다. 달지 않고, 약간은 허기를 덜 수도 있는 군음식이 스낵이다. 그런데 스넥은 뭐지?

같은 말이다. 영어 단어 snack을 한쪽은 스넥이라고, 건너편은 스낵이라고 하는 것이다. 한글의 외래어표기법에 따르자면 snack[snæk]은 스낵이라고 적는 것이 옳다. 스넥이나 스낵이나, 다를 게 뭐가 있담? 그러나 다르다. 우리말의 [에]와 [애]는 발음이 다르다. 영어 발음기호 [e]와 [æ]의 차이와 비슷하다.

 

요즘은 일반인들은 말할 것도 없고, 방송에 나오는 기자와 아나운서까지도 대부분 이 차이를 모르는 것 같다. 영어도 꽤 잘 하는, 잘나가는 30대 남녀 직장인 두 명씩에게 물어보니 그 차이도 모르고 그런 발음법에 관해 배운 기억이 없다는 대답이다. 대학생들도 마찬가지. 요즘엔 안 배우나? 영어 발음의 차이로 설명하니 그때야 고개를 끄덕인다.

 

필자, [애]는 ‘입술을 좌우로 길게 벌려 내는 소리’와 같이 중학 때 국어와 고문(古文) 담당 이장수 김암룡 선생님께 배웠다. 못하던 녀석들은, 나도, 대 뿌리 회초리 매를 맞았다. [e]와 [æ]의 차이는 영어 담당 강경규 선생님께 배웠다. 아득한, 그러나 또렷한 기억이다.

영어는 잘하는 그들이지만, ‘내 것’(mine)과 ‘네 것’(yours)의 우리말 소리의 차이를 이들은 설명할 수 없었다. 음가(音價) 즉 ‘소릿값’에 관해 배운 적도, 생각해본 적도 없다는 얘기다. 어찌된 일일까? 우리 말글에 관한 자부심들은 크지만 막상 이런 주제에 들어서면 우리의 언어생활은 참 초라하고 부끄럽다.

 

snack이 ‘스넥’이어서 불편할 바는 없다. 다 알아듣는다. 굳이 가고파 스넥 아주머니에게 간판을 고치라고 얘기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대학을 나온 ‘지식인’들도 스넥과 스낵의 소리의 차이를 설명할 수 없는 상황은 곰곰 생각해 봐야 할 주제다.   

스낵은 ‘간단한 식사’ ‘주전부리’을 이르는 말이기도 하고, 스낵을 먹는 공간 즉 격식 갖춘 레스토랑이 아닌 가벼운 음식을 먹는 곳이기도 하다. 스낵바나 스낵카운터라고도 부른다.

 

한글의 외래어표기법은, 말하자면 우리 말글의 기본적인 법칙 중 하나다. 이유나 이론적인 배경이 있어서 ‘스낵’으로 부르자고 했을 터다. 그리고 미국인들의 발음도 [스넥]이 아닌 [스낵]이다. 앞으로 되도록이면 스낵으로 쓰면 혼동하는 일도 없을 것이고, 이런 입질에 오르지도 않을 테니 더 좋지 않을까.
그런데, ‘주전부리 가게’ ‘군음식 천지’ ‘군것질 포차(포장마차)’ ‘군입정 식당’ 따위와 같이 부르면 안 되나? 꼭 스넥 아니면 스낵이라 불러야 하나? 우리말로는 뜻이 통하지 않게 된 것인가? 언제부터 우리가 이렇게 미국인들 말로 ‘생활’했지?

원문보기: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02185#csidxf0cec8f4672db679d1dfb46a5330661